해외 구매 업무 경험 (2) 상품 판매 프로세스

판매 대리점 상품

판매 프로세스

1) 제품 사진

해외에서 구매한 상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하려면 상품 사진이 필요합니다.

소비자가 직접 제품을 보고 구매할 수 없기 때문에 디자인, 재질, 상태를 이해할 수 있도록 상세 사진을 촬영하여 업로드해야 합니다.

사진은 흰색 배경으로도 잘 되는데, 온라인 셀러가 늘어남에 따라 제품 사진을 간편하게 찍을 수 있는 ‘포토박스’ 제품이 점점 많아지고 있으니 하나쯤 있으면 좋다.

상자 안에 LED 조명이 있어 가방이나 지갑을 함께 넣어 사진을 찍으면 프로의 모습이 됩니다.

위에서(공중 촬영) 또는 정면에서 촬영할 수 있습니다.

조명 덕분에 스마트폰으로 찍어도 화질이 좋습니다.

명품의 경우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스티치 디테일, 브랜드 로고, 안감 및 브랜딩을 사진으로 찍는 것이 좋습니다.

2) 상품 업로드

상점에 제품을 업로드하십시오. 브랜드 식료품을 업로드할 때 포함해야 하는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상표
  • 제품 이름 또는 부품 번호
  • 색상
  • 상세 치수(센티미터로 표시)
  • 기원
  • 액세서리(병행 수입품에는 일반적으로 원본, 더스트 백, 보증 카드, 브랜드 상자, 쇼핑백이 포함되지 않음)
  • 정품 보증(위조 시 이중 보상 및 법적 처벌을 약속하는 강력한 보증 단어)
  • AS상태(AS는 해외 구매대행업체로 백화점 및 매장에서 구매가 불가함을 나타냄)

3) 가격

지금까지 우리가 말하는 해외구매업은 서비스업이 아니라 도소매업입니다.

해외에서 들여온 제품을 국내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것입니다.

이 부분을 말하는 이유는 세금 신고서에 “매출액”으로 반영된 부분이 전혀 다르기 때문에 세액이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기 위함입니다.

  • 해외상품을 온라인으로 구매하여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하는 구매대행업 => 서비스업 판매금액은 “구매수수료”이며, 그 중 10%를 부가가치세로 납부
  • 해외에서 (재고가 있는) 상품을 사서 소비자에게 보내는 구매업 => 도소매업, 판매는 “소비자가 구입한 가격”이며, 그 중 10%를 VAT로 납부

나중에 지불해야 하는 세금을 고려하여 제품 가격을 결정해야 합니다.

상품의 가격에는 상품의 구입가, 포장, 배송비(해외발송비+고객님께 배송비) 및 세금이 포함됩니다.

여기서 마진이 녹아내리는데 그때는 저번에 말씀드렸던 점포 수수료까지 감안하셔야 합니다.

제 경우 제품 브랜드별, 카테고리별로 마진이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20% 정도입니다.

다른 판매자가 동일한 제품을 무엇에 판매하는지 확인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구매할 때 가격을 먼저 고려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