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뼈 주상골 골절에 관한 정보 공유.

손목뼈 주상골 골절에 관한 정보 공유.

안녕하세요. 방문객 및 이웃 여러분!
센터장 손다니엘 입니다^^오늘은 급성 손목 부상 사례의 15%를 차지하고 있는 주상골 골절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기본 정보, 주상골 골절이란?

주상골은 손목을 이루는 8개의 작은 뼈 중 하나로 엄지손가락 쪽에 위치하여 손목관절의 움직임과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런 주상골에 골절이 발생하게 되면 엄지손가락 아래 부분에 통증이 생기고 관절 범위가 제한됩니다.

주상골 골절 위치

주상골은 크게 세 부위에서 골절이 발생합니다.

▷ 원연: 손가락에 가장 가까운 주상골 끝입니다.

이 부위는 비교적 혈관 분포가 많기 때문에 다른 부위의 손상보다 회복이 빠를 수 있습니다.

▷ 주상골요부: 주상골 중간 부분에서 골절 사례의 70% 이상이 해당됩니다.

▷ 몸통 끝 : 허리뼈에 가장 가까운 주상골 끝입니다.

이 부위는 혈관 분포가 적어 손상 시 치유가 늦어질 수 있습니다.

주상골 골절이 자주 일어나는 사람은?

주상골 골절은 모든 사람에게 일어날 수 있지만, 특히 아래 사람들은 손상 위험이 높습니다.

- 10대 청소년/30대 미만 청년 – 골다공증

주상골 골절의 원인손목의 주상골 부위에 충격이 가해지면 골절이 될 수 있습니다.

해당 부위에 충격이 가해지는 일반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넘어짐(손바닥에 땅을 짚고 넘어진 경우) – 스포츠 부상 – 자동차 사고주상골 골절 증상주상골 골절의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통증(압통의 형태) – 부종 – 높은 민감성(조금만 눌러도 통증이 나타난다) – 때와 피부색 변화 – 손목 가동범위 제한 – 피부 함몰(스냅박스 부위)주상골 골절 합병증주상골 골절이 있는 경우 아래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급성 구획 증후군(Acute compartment syndrome) – 부정교합 – 불교합 – 무혈성 괴사 – 손목관절염의 이러한 합병증은 골절에 대한 치료를 받지 않을 때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주상골 골절 진단하루 이상 지속되는 통증이 있으신 분은 하루빨리 병원을 방문하여 아래와 같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X선 : 주상골이 얼마나 골절되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X선에서 밝혀지지 않은 주상골 골절은 ‘잠복 주상골 골절’이라고 해서 MRI나 CT를 추가 촬영해서 확인할 필요가 있기도 합니다.

▷ MRI/CT: 골절 부위와 주변 연부조직의 손상을 상세하게 보여줍니다.

주상골 골절 치료주상골 골절의 치료 방법은 골절의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단,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 고정 : 주상골 조각이 내부에서 이동(변위)되지 않은 경우 부목이나 깁스를 착용하여 골절 부위를 고정합니다.

▷ 내부 고정술 : 내부 골절 부위를 핀, 나사, 와이어, 금속판 등을 이용하여 연결합니다.

▷ 골이식: 주상골이 심하게 변위되었거나 적절하게 치유되지 않은 경우에는 골이식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 약물 치료 :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등의 통증을 조절할 수 있는 약을 복용합니다.

주상골 골절에서 빨리 회복하려면?주상골 골절이 있는 사람들이 빨리 회복하기 위해서는 완치될 때까지 아래와 같은 항목을 지켜나가야 합니다.

- 450g(1파운드) 이상의 무게를 들거나 옮기거나 밀거나 당기는 행위 금지 – 격렬한 스포츠(미식축구, 농구, 배구 등) 금지 – 사다리나 나무타기 금지 – 인라인스케이트, 트램펄린 등 손으로 넘어지는 활동 참가 금지 – 중장비조작및공사용기계사용금지 – 금연주상골 골절의 치유기간 및 완치주상골은 부위에 따라 혈관 분포 정도가 다릅니다.

골절 부위에 혈관 분포가 적을 경우 치료에 오랜 시간(최대 6개월)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주상골 골절은 약 10~12주 안에 완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초기 재활 여부, 나이, 기저질환, 규칙적인 활동 여부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달라질 수 있습니다.

주상골 골절이 의심되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주상골 골절이 의심되면 즉시 병원에 가야 합니다.

골절 후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시간이 지나면 혈액 공급 제한으로 뼈가 괴사할 수 있습니다.

주상골 골절이 의심되면 즉시 병원에 가야 합니다.

골절 후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시간이 지나면 혈액 공급 제한으로 뼈가 괴사할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긴 글을 읽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계림2동행정복지센터 광주광역시 동구 계림동 1820지산2동행정복지센터 광주광역시 동구 지호로 51 지산2동주민센터지원2동행정복지센터 광주광역시 동구 화산로 361계림1동행정복지센터 광주광역시 동구 경양로247번길 26 계림1동주민센터동명동행정복지센터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로26번길 13동명동행정복지센터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로26번길 13동명동행정복지센터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로26번길 13